아이에게 최고로 좋은 것만 주고 싶은 생각, 부모라면 당연히 가질 법한 마음일 텐데요. <br /> <br />육아 관련 인터넷 카페에서 구매 후기 등이 많이 달린, 이른바, 명품 아동 운동복 세트를 직접 검색해봤습니다. <br /> <br />가격이 높은데도 후기가 꽤 많아 높은 인기를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판매 성장세도 무섭습니다. <br /> <br />고물가에 허리가 휜다는 말이 무색하게 명품 아동복 시장은 활활 타오르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BC카드가 주요 백화점의 명품 아동복 브랜드 가운데 결제 건당 단가가 높은 5개 브랜드의 카드 매출을 분석했는데요. <br /> <br />지난해 매출을 기준으로 전년 대비 31.9%가 올랐고, 2020년과 비교하면 3년 동안 무려 152%가 오르며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저출생으로 자녀가 귀해지면서 아낌없이 돈을 쓰는 흐름을 '골드키즈' 현상이라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문제는 이런 현상이 아동복 시장의 양극화를 부추기면, 심각한 지금의 저출생이 더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이은희 / 인하대 소비자학과 명예교수 : 아이를 출산하고 양육하고 교육하는 데 드는 많은 비용 때문에 출산을 꺼려하시는 분들이 많거든요. 그런데 이제 이렇게 아동용품 시장이 프리미엄, 고급화되면 그것 자체가 아동 출산과 양육, 교육에 드는 비용을 더 가중시키기 때문에 저출생의 또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다.] <br /> <br />골드키즈 현상이 저출생을 촉발하고 저출생은 다시 골드키즈 현상으로 이어지는 악순환 속에 지난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0.72명으로 세계 최저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않으면 저출산 위기가 도래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[이상림 /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 : (합계출산율) 0.7을 해석하면 200명의 부부가 있는데 다음 세대에는 여성 100명이 70명의 아이를 낳고 그 다음 세대에는 70명의 부부 중에서 25명 정도의 아이들이 나오는 수준입니다. 다시 말씀드리면 한 세대 반 만에 200명에서 25명으로 줄어드는 게 지금 우리의 출산력 수준이에요. 우리 사회의 존속을 위해서는 모두가 같이 고민을 해야 할 시기라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"하나만 낳아서 잘 키우자" <br /> <br />출산과 육아에 들어가는 노고를 고려하면 당연한 말일 수도 있는데요. <br /> <br />다만, 골드키즈 현상의 심화가 부유해야만 아이를 키울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고, <br /> <br />현재 심각한 수준의 출산율을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지웅 (jyunjin7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430130835642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